삼성전자, 임금교섭 본격돌입..."인상률·성과급제 쟁점"

송민수 기자 / 기사승인 : 2024-01-18 16:49:34
  • -
  • +
  • 인쇄
지난 16일 1차 본교섭 시작…2023·2024년 병합 교섭 진행

[세계타임즈 = 송민수 기자] 삼성전자가 본격적인 임금 교섭에 돌입했다.

18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 노사는 지난 16일 2024년 임금협상을 위한 1차 본교섭을 시작했다.

삼성전자 노사는 지난해 임금 교섭을 마무리 짓지 못해, 올해와 병합해 교섭을 진행한다. 노조는 오는 3월 임금에 인상분이 반영될 수 있도록, 3월15일 이전 협약 체결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번 노사 임금교섭은 임금 인상률과 성과급 제도가 쟁점이 될 전망이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반도체 사업에서 큰 폭 적자가 누적되면서 전사 실적도 크게 부진했다. 이에 반도체 사업을 담당하는 DS(반도체) 부문은 임원들이 올해 연봉을 전년 수준에서 동결하기로 결정했다. 직원들의 올해 임금 인상 수준도 전년 수준(노사협의회 기준 4.1%)에 미치지 못할 가능성이 커졌다.

더구나 삼성전자는 기본급 외에 실적에 따라 차등 지급하는 성과급 비중이 높은데 경기 상황에 따라 사업부문별, 개인별 임금 편차가 커지는 것에 일부 불만이 커지고 있다.

노조에 따르면 조합이 최근 조합원과 비조합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응답자의 90.7%가 현 급여 수준이 부족하다고 답했다. 노조는 또 ‘물가인상’(29.7%), ‘경쟁사 대비 임금 부족’(24.8%), ‘영업이익 대비 임금 부족’(14.2%) 등을 이유로 임금 인상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적정 임금인상률은 ‘6∼10%’가 64.5%로 가장 많고, ‘5% 이하’가 22.7%, ‘11∼15%’가 8.8% 순이었다.

노조는 “제멋대로인 임금 인상안과 목표달성장려금(TAI)·초과이익성과금(OPI) 지급기준, 사업부 간 신입 연봉 차별, 기준 없는 특별 성과금 등 불확실한 임금 체결을 개선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삼성전자는 창사 이래 ‘무노조 경영’을 고수하며 매년 노사협의회를 통해 임금 인상률을 결정해왔으나, 지난 2020년 이재용 회장의 무노조 경영 폐기를 선언 이후 노조와 별도의 임금 교섭을 진행하고 있다.

삼성전자 노사는 지난 2022년 창사 이래 처음으로 임금협약을 체결하는 데 성공했으나, 지난해는 교섭을 매듭짓지 못한 채 해를 넘겼다. 양측은 지난해와 올해 교섭을 병합하는 조건으로 휴가 개선에 합의하고, 관련 협의에 나설 예정이다.

[저작권자ⓒ 서울세계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세계타임즈 구독자 여러분 세계타임즈에서 운영하고 있는 세계타임즈몰 입니다.
※ 세계타임즈몰에서 소사장이 되어서 세계타임즈와 동반성장할 수 있도록 합시다.
※ 구독자 여러분의 후원과 구독이 세계타임즈 지면제작과 방송제작에 큰 도움이 됩니다

세계타임즈 후원 ARS 정기회원가입 : 1877-0362

세계타임즈 계좌후원 하나은행 : 132-910028-40404

이 기사를 후원합니다.

※ 구독자 여러분의 후원과 구독이 세계타임즈 지면제작과 방송제작에 큰 도움이 됩니다.

세계타임즈 후원 ARS 정기회원가입 : 1877-0362

세계타임즈 계좌후원 하나은행 : 132-910028-40404

후원하기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