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 전 남부지방을 강타한 태풍 콩레이를 비롯해 2016년 경주지진, 2017년 포항지진, 2018년 서울 금천구 아파트 지반침하, 서울 상도동 유치원 붕괴 등 각종 재난이 발생하고 있는 상황에서 재난을 겪은 국민의 심리적 회복을 위한 재난심리회복지원사업의 전문가 참여율이 부족한 것으로 드러났다.
![]() |
▲ |
재난심리회복지원사업은 행정안전부에서 보건복지부, 적십자사, 지자체 등과 협조해서 재난을 경험한 국민들이 겪는 트라우마를 관리하기 위해 진행하는 사업이다. 재난경험자들의 외상후스트레스장애, 우울증 등 심리적 충격을 완화하여 재난 이전의 일상생활로 조기 복귀를 지원한다.
행정안전부는 지자체의 재난심리회복지원사업에 의사, 교수, 정신보건전문요원 등 전문가를 20% 이상 참여하도록 하고 있는데, 경북(45.2%)과 제주(35%), 부산(29.7%)를 제외하고 20%의 전문가 인력풀을 확보한 곳은 없었다. 특히 세종(1.41%)과 인천(1.64%), 충남(1.68%)은 전문가 참여율이 현저히 낮았다.
어렵게 확보한 전문가조차 실제 상담에 투입되는 비율은 낮았다. 2017년 기준 전문가를 포함한 전국의 재난심리회복지원사업 활동가 1532명 중 실제 상담에 참여한 인원은 603명으로, 참여율은 39.36%에 불과했다. 제주(17.5%)와 광주(15.2%), 전남(12.9%)이 특히 낮았다.
김한정 의원은 “재난심리회복지원사업의 취지는 좋지만 전문가도 부족하고 활동가들의 참여율도 떨어지는 상황에서 실효성을 기대하기 어렵다”며 “국민들이 국가로부터 제대로 된 상담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인력풀 재정비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세계타임즈 조원익 기자]
[저작권자ⓒ 서울세계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