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사회서비스원] 인천시 사회복지종사자 권익지원사업 발전방안 연구 최종보고 가져

심하린 / 기사승인 : 2025-09-01 10:13:50
  • -
  • +
  • 인쇄
‘프리:패스’ 인권센터 개소 6년
사업 재구조화,
사회복지종사자 권익지원센터로 확대 제시
▲ 김지영 인천시사회서비스원 정책연구실장이 최근 인천시사회서비스원 대회의실에서 ‘인천시 사회복지종사자 권익지원사업 발전방안- 프리:패스 인권센터를 중심으로’ 연구 최종보고를 하고 있다.

 

[인천 세계타임즈=심하린 기자] 인천시사회서비스원(원장·황흥구)는 최근 ‘인천시 사회복지종사자 권익지원사업 발전방안 연구- 프리:패스 인권센터를 중심으로’ 최종보고를 했다고 1일 밝혔다.


 ‘프리:패스 인권센터’는 지난 2019년 인천사회복지공동모금회 지원을 받아 사회복지종사자 위기 대응 역량 강화 사업으로 시작했다. 운영은 인천시사회복지사협회가 맡으며 2022년 이후 인천시가 예산을 지원한다. 세부 사업으로는 법률&노무 프리:패스, 프리:패스 회복지원, 안전 체계 구축 지원, 찾아가는 프리:패스 교육, 프리:패스 컨설팅, 인권기반 리더십 교육 등이 있다.

 연구는 센터의 주요 성과로 △현장 요구 반영 △안전, 권익, 법률, 노무 등 현장 어려움 확인 △지속 가능한 재정 지원 체계 구축 △관련 조례 제정 △사회복지종사자 권익에 대한 인식 변화 등을 들었다. 지난해까지 법률·노무상담은 305건,‘찾아가는 프리:패스 교육’은 107회 이뤄졌다. 직무 외상 등을 겪은 종사자 심리상담 과정 ‘프리:패스 회복지원 사업’은 157명이 이용했다. 인권 기반 리더십 교육에는 202명이 참여했다. 이 교육은 인천시 특화 사업으로, 지난 2020년 전국 최초로 제정한 사회복지종사자 인권 조례 ‘인천광역시 사회복지종사자 인권 보호와 건강한 사회복지현장 조성 및 지원에 관한 조례’를 근거로 한다.

 인천시 권익지원사업 발전방안으로는 먼저 프리:패스 인권센터의 재구조화를 제시했다. △지역 사회복지사협회의 강점을 살리는 사업에 집중 △수요와 효과성을 기준으로 사업 조정 △사업의 인지도 향상 세 가지 방향이다.

 새 국정과제 기조에 따라 인천시 사회복지종사자 권익지원센터 설치 방안도 장기과제로 제안했다. 권익지원센터는 △시설 내에서 해결할 수 없는 인권·권익침해 사안 대응 △종사자 권익 정보를 빠르고 편리하게 제공 △건강한 사회복지 조직을 만드는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지원 △지속적인 사회복지종사자 인권 수준 모니터링과 정책 대안 제시의 기능을 한다.

 김성준 인천시사회복지사협회장은 “사회복지종사자가 행복하면 그들이 돌보는 시민도 행복하다. 사회복지종사자 권익지원사업을 활성화해 시민이 행복한 복지도시 인천을 만드는 데 노력하겠다"며 "앞으로 권익지원센터 전환을 목표로 현장 요구와 필요성을 충분히 반영할 수 있도록 긴밀하게 협의하고 준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연구를 맡은 김지영 인천시사회서비스원 정책연구실장은 “인천시는 사회복지종사자 인권 조례를 최초로 제정하고 권익지원사업을 적극적으로 지원하며 전국적인 모범사례로 프리:패스 인권센터를 만들었다”며 “이번 연구가 인천시 사회복지종사자 권익지원사업의 성과를 알리고 앞으로 모든 종사자가 안전한 일터에서 존중받으며 일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가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서울세계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세계타임즈 구독자 여러분 세계타임즈에서 운영하고 있는 세계타임즈몰 입니다.
※ 세계타임즈몰에서 소사장이 되어서 세계타임즈와 동반성장할 수 있도록 합시다.
※ 구독자 여러분의 후원과 구독이 세계타임즈 지면제작과 방송제작에 큰 도움이 됩니다

세계타임즈 후원 ARS 정기회원가입 : 1877-0362

세계타임즈 계좌후원 하나은행 : 132-910028-40404

이 기사를 후원합니다.

※ 구독자 여러분의 후원과 구독이 세계타임즈 지면제작과 방송제작에 큰 도움이 됩니다.

세계타임즈 후원 ARS 정기회원가입 : 1877-0362

세계타임즈 계좌후원 하나은행 : 132-910028-40404

후원하기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