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세계타임즈=손권일 기자] 광주시는 2020년 기록적인 호우로 1천4백억이 넘는 피해액과 6백8십억이 넘는 복구비(사망2, 실종1건 포함)가 발생했음에도, 2년이 지난 현재도 제대로 된 침수대책이 마련되지 않고 있다는 평가가 나왔다.
서임석 의원(남구1)은 10월 13일 제311회 임시회 제5차 본회의 시정질의에서 광주시는 힌남노와 같은 태풍이 올 때면 그저 별 탈 없이 지나가주기를 바랄 뿐, 대책 마련에 소홀하다며, 단 한 개도 없는 빗물 터널과 16개뿐인 빗물 저장소를 근거로 제시했다.
이에 서 의원은 빗물 저장소와 빗물 터널의 적극적인 설치를 주장했다. 빗물터널은 지난 8월 서울 양천구에 시간당 59.5mm의 비가 쏟아 졌을 때 600세대의 침수 피해를 막았다고 평가 받는 시설이다.
또한, 침수 피해의 실질적 직격타는 시간당 강수량에 있는데, 광주시 답변에 따르면, 현재 광주시의 시설로는 시간당 100mm의 강우가 쏟아질 경우 예상 피해액이 1조950억에 이른다며 서의원은 신속한 대비책을 촉구했다.
서 의원은 광주시는 당장 어떠한 피해가 발생할지도 모르는데, ‘광주광역시 자연재해저감 종합계획 수립 용역’만을 바라보고 현재 계속된 피해에도 불구하고 방재지구 하나 지정되어 있지 않다고 밝혔다.
빗물저장소와 빗물탱크의 확대 설치와 더불어 서 의원은, 침수 피해가 발생하게 되면, 항상 지하주차장 침수 피해가 발생함에도, 지하주차장이 있는 575개의 공동주택 단지 중 물막이판이 설치된 단지는 27개 뿐이라며, 이 또한 시급한 조치가 필요하다고 요구했다.
한편, 서임석 의원은 제9대 전반기 교육문화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하면서 5분 자유발언을 통해 “백운지하차도 양방향 소통을 강조” 하고 “자립준비청년의 정서적 지원을 위하여 멘토-멘티 시스템의 강화ㆍ개선이 필요하다” 고 주장하는 등 지역현안에 대해 주민의 기대에 부응하는 의정활동을 펼치고 있다.
[저작권자ⓒ 서울세계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