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은 지구에 예술은 없다. 문화예술 행사, 축제, 마이스에도 ESG 고민해야 할 때

이용우 / 기사승인 : 2025-02-05 21:22:40
  • -
  • +
  • 인쇄
◈ 부산시의회 최영진의원 제326회 임시회 5분자유 발언을 통해 호소
◈ 작품의 완성도, 아티스트, 방문객 등의 편의 못지않게 지구의 현실을 고려해야
◈ 조성되는 문화시설에 지속가능한 창작가이드라인 필요, 축제도 환경 고려한 감독선임 제안
[부산 세계타임즈=이용우 기자] 각종 전시나 공연관람을 할 때 나, 혹은 소문난 축제장을 방문하여, 큰 감동과 즐거움을 안고 돌아갈 때 현장 곳곳의 쓰레기 더미, 넘쳐나는 각종 일회용 용품들이 산더미 같이 쌓인 것을 종종 목격하게 된다.


 게다가 비가 온 직후의 행사 현장은 더하다. 입다가 버려진 우비,일회용 우산, 각종 행사장비를 덮은 비닐 등이 쌓인 것을 쉽게 발견하게 된다.

 문화, 예술 프로젝트의 감동 이면에는 너무나 많은 쓰레기가 쌓인다.
 

이제 이런 들을 괜찮다고 하기에는 지구의 상황이 그리 여유있는 상황은 아니다.

 이런 문제에 팔 걷고 나선 부산시 의원이 있다.
 

 

지난 제326회 임시회에서 행정문화위원회 최영진의원(사하구1·국민의힘)이 본회의에서 5분자유발언을 통해 이 문제에 대하여 모두의 동참이 필요하다고 촉구 하였다.

 우리 사회 곳곳에서 ESG(환경·사회·지배)를 강조하고, 실천 방안을 간구하는 것에 비하여 폐기물 발생이 높은 문화예술 행사, 축제 등에는 관람 객등 고려할 요소가 많아 뒷전이 었다.

 최영진의원은 “문화예술 분야는 비록 고온실 가스 배출 영역은 아니지만, 문화관련 시설, 축제 및 이벤트 등에서 지속적으로 에너지 소비와 폐기물이 발생하기 때문에 체계적으로 관리 되어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그러면서 타 문화기관과 축제현장을 예를 들었는데, 문화예술시설에서 <지속가능 창제작 가이드라인>을 통하여 전시작품 설치, 철거에 있어서 친환경 관점을 강조하는 가이드라인을 제시한 문화예술기관과 타 시의 축제 현장에 지속가능성 감독, 환경예술감독등을 선임하여 ESG 실천에 보다 적극적이고 전문적으로 대응하고 있는 사례를 언급하였다“

 부산시는 지난 24년도 세계탁구선수권대회 준비부터 대회 운영 전과정을 ESG 실천을 염두에 두고 한바 이에 행사, 축제, 스포츠등에 ESG 실천을 인증하는 ISO20121을 인증을 받은 바 있다.

 이러한 노력은 어느 한 부서의 실천이 아니라 문화예술 사업들, 축제현장 그리고 마이스 현장등 곳곳에 적용되어야 한다고 최영진의원은 강조하면서 앞으로 이에 대한 조례 재정 뿐만 아니라 시 관련 부서의 사업을 더욱 면밀히 챙겨볼 것이라고 하였다.

 

[저작권자ⓒ 서울세계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세계타임즈 구독자 여러분 세계타임즈에서 운영하고 있는 세계타임즈몰 입니다.
※ 세계타임즈몰에서 소사장이 되어서 세계타임즈와 동반성장할 수 있도록 합시다.
※ 구독자 여러분의 후원과 구독이 세계타임즈 지면제작과 방송제작에 큰 도움이 됩니다

세계타임즈 후원 ARS 정기회원가입 : 1877-0362

세계타임즈 계좌후원 하나은행 : 132-910028-40404

이 기사를 후원합니다.

※ 구독자 여러분의 후원과 구독이 세계타임즈 지면제작과 방송제작에 큰 도움이 됩니다.

세계타임즈 후원 ARS 정기회원가입 : 1877-0362

세계타임즈 계좌후원 하나은행 : 132-910028-40404

후원하기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