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광역시가 침수 사고에 대비해 지하차도 차량 진입 차단시설을 총 24곳에 설치할 계획이지만, 실제 2025년까지 완료될 것으로 예상되는 시설은 5곳 미만에 그칠 전망이다. 이러한 지연은 전국 각지의 지자체들이 오송 지하도로 참사 이후 침수사고 대비에 서둘러 대응하고 있는 상황과 크게 대비된다. 이로 인해 대구시가 시민 안전을 우선시하지 않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홍준표 대구시장은 대구시의 재정 건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시급한 빚 청산을 최우선 과제로 삼고 있다. 이에 따라 침수 사고 대비 시설 같은 예산이 부족해져, 재해 예방이 뒤로 밀린 상황이다.
대구시 관계자는 "추가로 설치가 필요한 19곳의 차단시설에 대해서는 현재 예산이 부족해 추진이 어려운 상황"이라며, 구체적인 계획이 없음을 밝혔다.
차량 진입 차단시설은 지하차도에 물이 15cm 이상 차오르면 차량 진입을 자동으로 차단해 사고를 미리 예방하는 시스템으로, 정부가 전국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사업이다.
전국적으로 이와 같은 재난 예방 설비가 속속 설치되는 가운데, 대구시만이 유독 설치 속도가 더딘 이유에 대해 시민들은 우려를 표하고 있다.
대구의 한 시민은 "빚 청산도 중요하겠지만, 시민의 안전이 우선이다"라며 "재해 예방을 위해 시에서 좀 더 신속히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시민들의 이러한 목소리에 대해 대구시가 어떻게 대응할지 귀추가 주목된다.
[저작권자ⓒ 서울세계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