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우근 의원, 20만 자족도시 남구 위한 특화발전 정책 촉구

한윤석 / 기사승인 : 2023-12-11 20:37:32
  • -
  • +
  • 인쇄
- 기회발전특구 유치로 청년 창업활성화와 주민생활밀착형 공공 시설 재배치 등을 통해 ‘20만 자족도시 남구’ 옛 명성 회복 촉구

 

[대구 세계타임즈=한윤석 기자] 대구시의회 박우근 의원(기획행정위원회, 남구1)은 제305회 정례회 제3차 본회의 5분 자유발언에서 2021년 인구감소지역으로 지정됐고 대구 도심권에 포함된 남구가 처한 경제 침체와 지역쇠퇴 문제를 지적하고, 이 문제를 타개하고 ‘20만 자족도시 남구’의 옛 명성을 회복하기 위한 특화발전 정책 시행을 대구시에 촉구한다.

 

※ 인구감소지역:「인구감소지역 지원 특별법」에 따른 인구감소지역

박우근 의원은 모두 설명에서 “대구 도심권에 포함된 중구는 동성로 르네상스 프로젝트, 서구는 서대구역세권 개발, 북구는 도심융합특구 등을 본격 추진하면서 나름 활력을 찾고 있다”며, 그 반면 “남구는 1992년 25만명이 넘었던 인구는 매년 감소해 2019년 15만명 선이 무너졌고, 2021년부터 인구감소지역으로 지정되는 등 인구공동화가 극심하고, 기존 갖고 있던 교육과 산업기능이 사라지고 있으며, 지역경제를 지탱하던 스타트업 기업들도 타 자치구로 이전해 산업공동화 조차 심각하다”며 남구지역의 지역쇠퇴, 경제침체, 정책적 소외감 등을 지적한다.

그리고, 남구의 인구와 산업공동화를 타개하고, ‘20만 자족도시’로 나아가기 위해서 “민간의 아파트 건설만으로는 해결할 수 없다”며, 청년유입 정책과 주거명소 회복 정책의 중요성을 역설한다.

특히, 청년 유입정책으로는 ‘윤석열 정부의 지방시대 9대 정책 중 하나인 기회발전특구의 남구 유치’를 제안한다.

기회발전특구는 지역 청년의 신규 일자리 제공을 위한 창업활성화 제도로 “과거 남구지역에 스타트업 기업들이 모여 있던 계명대 대명동 캠퍼스 등 각 대학의 유휴캠퍼스를 활용해 특구를 지정하면, 청년인구 유입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기대해 볼 수 있다”고 주장한다.

그리고 “대구시가 중구에 역점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동성로 르네상스 프로젝트의 핵심 전략인 ‘도심캠퍼스 타운’을 남구 교대역 일원의 각 대학 캠퍼스와 연계할 경우 기회발전특구사업과의 더욱 큰 시너지 효과를 누릴 수 있다”고 제안한다.

또 “주거 편의를 위한 소방서, 도서관, 어린이집 등 생활인프라를 적절히 재배치해야 한다”며 주거명소 남구의 옛 명성 회복정책도 제안한다.

박우근 의원은 “9개 구·군이 균형 있게 발전해야 비로소 대구시 전체의 발전이 가능하다”며, “남구가 ‘20만 자족도시’로 부활하기 위해서는 지역 내 각 대학캠퍼스 유휴지를 중심으로 기회발전특구를 지정하고, 공공시설 재배치로 주거명소로서의 옛 명성 회복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다시 한번 강조한다.

 

[저작권자ⓒ 서울세계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세계타임즈 구독자 여러분 세계타임즈에서 운영하고 있는 세계타임즈몰 입니다.
※ 세계타임즈몰에서 소사장이 되어서 세계타임즈와 동반성장할 수 있도록 합시다.
※ 구독자 여러분의 후원과 구독이 세계타임즈 지면제작과 방송제작에 큰 도움이 됩니다

세계타임즈 후원 ARS 정기회원가입 : 1877-0362

세계타임즈 계좌후원 하나은행 : 132-910028-40404

이 기사를 후원합니다.

※ 구독자 여러분의 후원과 구독이 세계타임즈 지면제작과 방송제작에 큰 도움이 됩니다.

세계타임즈 후원 ARS 정기회원가입 : 1877-0362

세계타임즈 계좌후원 하나은행 : 132-910028-40404

후원하기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