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치한 기업의 22%는 이미 투자 포기 [전북=세계타임즈 최준필 기자] 전북도의 기업유치가 제대로 이행되지 못하고 절반 가까이는 아직도 미착공 상태로 남아 있다는 지적이 도의회 행정사무감사에서 제기됐다.
최훈열(부안) 의원은 11일, 일자리경제본부에 대한 도의회 행감에서 “전북도는 기업유치 실적을 대대적으로 홍보했지만 실제 투자에 성공한 기업은 절반 정도에 불과한 현실이며, 이에 따른 양질의 일자리 창출도 힘든 상황이다”고 지적했다.
최 의원에 따르면 최근 5년 동안 국내 및 외국인 투자유치 현황은 9월 말 현재까지 193개 업체로 나타났고, 투자 예정금액은 5조 4,537억 원에 고용예정 인원은 17,000명이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올해 유치한 기업을 제외한 2016년부터 2019년까지 4년 동안 유치한 기업은 총 154곳으로 집계됐으며, 이 중 44%에 해당하는 67곳이 아직도 착공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고, 가동 중인 기업은 60곳(39%)으로 나타났다. 전체 154곳 가운데 34곳(22%)은 자금 사정 등을 이유로 이미 투자를 포기한 상태다.
2017년에 투자유치 협약을 체결한 A 기업, B 기업, C 기업, D 기업 등은 협약 이후 3년 이상 시간이 흐른 현재 시점까지도 투자 포기도 아니고 착공도 아닌 어정쩡한 상태에 머물러 있다.
최 의원은 “기업유치 MOU만 대대적으로 홍보할 게 아니라 실제 투자에 성공할 수 있도록 하여 양질의 일자리 창출로 이어지도록 투자유치 사후관리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이어, 도지사 공약사항인 지역통화 전북코인에 대한 지적도 이어갔다. 최 의원은 “지역통화 전북코인의 발행과 운영은 도지사 공약사항이지만, 현재까지 전북코인에 관한 사업 추진은 없고 시군별 지역사랑상품권만 발행, 유통되고 있어 사실상 공약 포기 아니냐”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서울세계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