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세계타임즈 김동현 기자] 도의회 농산업경제위원회(김철수 위원장)가 지난 12월 혁신도시 축산악취에 대한 설문 조사를 실시한 결과, 혁신도시 내 축산 악취 강도와 발생빈도가 과거와 비슷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북혁신도시와 김제시 용지면 주민 314명을 대상으로 2018년에 비해 악취 강도와 발생빈도가 줄어들었는지를 묻는 질문에 김제 용지면 주민의 경우 ‘과거와 비슷하다’는 응답이 51.5%, ‘조금 더함’이라고 응답한 사람이 22.7%로 부정적인 의견이 많았다.
반면에 혁신도시 주민들은 ‘조금 줄었다’는 응답이 42.9%로 가장 많았으며 ‘과거와 비슷하다’고 응답한 사람이 36.9%로 긍정적인 답변이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응답자의 97.5%가 악취가 체감된다고 응답했고, 이 중 60%가 ‘강함 이상’의 악취를 체감한다고 답했다.
악취를 체감하는 계절로는 여름철(47%), 연중(21.1%), 봄(17.2%)을, 시간대는 오후 6~9시(27.2%), 오후 3~6시(21.3%)를, 악취 발생이 많은 날씨는 흐린 날(39.4%)과 비 오는 날(31.5%)을 꼽았다.
또한 악취를 체감하는 방향은 혁신도시 주민의 경우 ‘서쪽(김제 용지면 방향)’이 45%로 가장 높았고, 김제 용지면 주민은 주변에 산재된 인근 축사 등으로 인한 악취가 주를 이루어 ‘방향 모름’(55%)의 답변이 가장 많았다.
축산악취 저감을 위해 필요한 정책으로는 ‘악취 유발시설 단속 강화’(22.2%), ‘노후 축산시설의 현대화 사업’(21.6%), ‘축산시설의 이전/폐업/매입 추진’(19.4%)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김철수 위원장은 “그동안 전라북도에서 혁신도시 축산악취 저감을 위해 다양한 정책을 추진해왔으나 응답자의 절반 가량이 축산악취가 과거와 비슷하다고 응답해 주민들이 만족할 만한 수준에 도달하지는 못한 것으로 판단된다”며, “설문조사 결과를 토대로 축산악취 저감 효과가 가시적으로 나타날 수 있도록 다양한 정책을 제안하고 조례를 제정하는 등 적극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서울세계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