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스탠포드 대학생, 탑골공원에 들려 독립선언문을 읽다

정경호 기자 / 기사승인 : 2019-03-19 19:27:39
  • -
  • +
  • 인쇄

 

▲ 스탠포드 대학교 컴퓨터공학과 재학생(사진 = 박준기 스탠포드 대학교 컴퓨터공학과 재학)

 

[기고 박준기] 저는 최근 삼일절 100주년을 맞이하여 우리나라를 방문한 스탠포드 대학교 컴퓨터공학과 재학중인 박준기입니다. 서울에 올 때마다 독립선언문이 처음 낭독된 장소인 종로에 위치한 사적 제354호 탑골공원에 들립니다.

 

종로에 가서 평양냉면 한 그릇을 먹고 탑골공원에 들려 독립선언문을 읽는 것은 서울에서 고등학교를 다니면서부터 시작하게 된 습관입니다.


이 곳에서 대한민국의 자유를 얻고 유지하기 위해 싸운 용감한 애국자분들께 경의를 표하고, 지금의 대한민국이 있기까지 그분들이 이루어낸 위대한 희생에 대해 회고하는 시간을 갖습니다.

 

시간이 지나면서 현재의 우리를 있게 해 준 과거의 사건들을 배우고 명상하는 것의 필요성은 더욱 커졌습니다. 우리의 더 나은 미래를 꿈꾸기 위해 첫째로 우리는 현재를 충분히 이해해야 합니다.

 

그렇게 하기 위해서 한국인으로서 우리는 식민지시대의 아픔과 독립의 진정한 의미를 깨달아야 합니다. 3월 1일은 한국의 근·현대사에 기념비적인 날입니다.

 

서로 다른 배경, 신분, 이념을 가진 사람들이 하나가 되었습니다. 서로 손을 맞잡고 외세의 영향에서 벗어나 스스로의 운명을 개척하고 만들어가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현재 우리나라의 여러상황을 고려한다고 해도, 아직도 분단국가로 남아 있다는 사실은 매우 가슴 아픈 일입니다. 사회는 여전히 계층, 교육 수준, 이념으로 나뉘어져있습니다.

 

나아가, 냉전시대 이념의 영향으로 한국은 세계 유일한 분단국가로 남아있습니다. 전 세계의 한국인들은 독립운동가들을 존경하도록 배우지만, 현재 한국의 모습이 과연 그때의 독립운동가들이 원했던 우리나라의 진실한 모습일까에 대해 질문을 던져보게 됩니다.

 

우리나라에서 고등학교를 다니면서 북한 인권 활동을 하고, 스탠포드 대학교에서 전 스티븐스 주한 미국 대사께 한국의 역사에 대해 배웠습니다.

 

그리고 전 미군 장군 아래서 동아시아 평화 프로젝트를 함께 진행했습니다. 탈북자 연설을 기획하고, 아베 총리가 스탠포드 대학에 방문했을 때 위안부 문제에 대해 시위를 주도했습니다. 그 이유는 다음 세대들이 역사의 중요성과 현재 변화의 필요성을 알아야 한다고 생각해서 입니다.

 

삼일절 100주년에 서울의 많은 거리들은 각종 행사로 많은 거리들은 통제되었습니다. 어머니와 함께 하루 종일 거리를 돌아다니면서 많은 행사들을 볼 수 있었습니다. 아침에는 광화문 광장에서 수천명의 사람들과 많은 연사들의 말씀을 들으면서 보냈습니다. 이 중 기억에 남는 순간이 있습니다.

 

 

 

 

▲ 파고다 공원 삼일절 100주년 기념식 행사에서... (사진 = 박준기)

 

애국가가 나오자 주변 모든 사람들이 남녀노소 할 것 없이 애국가 4절을 눈물을 흘리며 부르는 순간이었습니다.

 

이후 종로, 을지로, 시청에서 여러 행진을 함께 하면서, 수많은 행사 참여자들이 전통 춤과 노래를 즐기는 모습을 보면서 백의민족이 우리 문화를 표현하면서 느끼는 기쁨과 자부심에 존경심을 갖지 않을 수 없었습니다.

 

저에게, 이 기쁨은 독립운동가들이 얻기 위해 투쟁하였던 자유를 의미한다고 생각합니다. 우리말로 말하고 노래하는 자유, 우리의 노래에 장단 맞춰서 춤을 추고, 우리의 전통 색깔의 옷을 입고, 우리의 신념을 지키고. 삼일 운동 백주년이 우리 한국의 전통에 대해 자부심을 갖도록 상기시켜주는 날이 되길 바랍니다.

 

나아가, 여기에 안주하지 않고, 우리의 지난 100년의 성과를 생각하고, 앞으로 다가올 100년의 발전을 함께하는 생각하는 계기가 되길 진심으로 바랍니다.

 

     

I came to visit Korea from California, where I study, in part to see the March 1st 100th anniversary festivities. Whenever I am in Seoul I make a point of going to Tapgol park in Jongro, the starting point of the march first movement where the declaration of independence was first read out. This is a habit I started as I went to high school in Seoul— going to Jongro, eating a bowl of 평양냉면 and going to the part to read the declaration of independence. I go there in part to pay homage to the brave patriots that fought to gain and maintain freedom in Korea but also to take sometime to fully reflect upon the incredible sacrifices that made Korea the place that it is now. As time passes it is more important for us to learn and meditate on the events that shaped who we are know. To better shape our future we need to first understand our present and to do so, as Koreans, we need to know about the pains of colonization and meaning of independence. March 1st is a unique moment in Korea’s recent history. Korean people of all backgrounds, classes, ideologies came together as one. Working hand in hand to choose their own destiny, free from foreign influence.

 

 

 

This is still relevant today when we look at the current state of Korea. My heart breaks when I think about how divided the Korean people are now. Society is still stratified with class, education, and ideology. Furthermore, Korea bears the brunt of Cold War ideologies as the only divided nation in the world. Koreans all around the world are taught to respect and praise the actions of the independence fighters, but as such, we should ask ourselves— is todays Korea the one they fought and died for?

I worked in human rights while going to school in Korea, and at Stanford, where I am currently a student studying computer science, I studied Korean affairs under a former US ambassador to Korea, worked on a East Asia peace initiative under a former four star US general, and have led campus events like a visit from North Korean refugees and a protest about the comfort women issue when Japanese Prime Minister Abe visited Stanford. I did this because I believe it is important for the coming generation to have the awareness of the need for change and togetherness.

On this 100th anniversary, many streets of Seoul were shut down for March first celebrations. I spent the day with my mother walking around trying to see as much as possible. I started the morning standing in Gwanghwamun plaza amongst the many thousands of fellow revelers watching the various speakers including the president, there was a special moment that sent chills down my spine. When the national anthem played, everyone around me, from young children to the elderly, started singing in harmony — all four verses— with tears in their eyes and hands on their hearts. Later, as I strolled through the parades of Jongro, Euljiro, and city hall, seeing the countless people dancing and singing in the traditional ways, I couldn’t help but admire the unrestrained joy everyone had of expressing our Korean culture.

To me, this joy represents the freedom that the independence fighters worked towards— freedom to speak and sing in our language, dance to our songs, wear our traditional colors and clothes, hold true to our values. I hope that this 100th anniversary of the march first movement is a reminder to stay proud of our shared Korean culture, but it should also provoke thought about how we’ve developed over the past 100 years and how we should develop over the next 100.

 

▲ 스탠포드 대학교 컴퓨터공학과 재학중인 박준기 (사진 = 박준기)

 

◦Califonia 출생, Lacanada Middle School 졸업

◦서울 아시아퍼시픽 국제 외국인학교 졸업

◦현재 스탠포드 대학교 컴퓨터공학과 재학중

◦빌게이츠 Millennium Gates Scholarship 장학생

◦북한인권 활동으로 제네바 유엔인권이사회 참가

◦전 주한 미국대사 스티븐스팀에서 함께 연구

 

[저작권자ⓒ 서울세계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세계타임즈 구독자 여러분 세계타임즈에서 운영하고 있는 세계타임즈몰 입니다.
※ 세계타임즈몰에서 소사장이 되어서 세계타임즈와 동반성장할 수 있도록 합시다.
※ 구독자 여러분의 후원과 구독이 세계타임즈 지면제작과 방송제작에 큰 도움이 됩니다

세계타임즈 후원 ARS 정기회원가입 : 1877-0362

세계타임즈 계좌후원 하나은행 : 132-910028-40404

이 기사를 후원합니다.

※ 구독자 여러분의 후원과 구독이 세계타임즈 지면제작과 방송제작에 큰 도움이 됩니다.

세계타임즈 후원 ARS 정기회원가입 : 1877-0362

세계타임즈 계좌후원 하나은행 : 132-910028-40404

후원하기
정경호 기자 정경호 기자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