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꽃샘 추위가 저물어가고 이제 꽃피는 봄이 어느덧 다가오고 있다. 봄은 따뜻한 날씨와 화창한 햇살로 우리의 기분을 들뜨게 하고, 등산객들은 때를 만난 듯 산으로 발걸음을 돌리게 된다.
그러나 봄은 때를 기다렸다는 듯 전국 곳곳이 산불로 몸살을 앓게 되는 계절이기도 하다. 작년 강원도 고성산불에서 알 수 있듯이 봄철 건조해진 날씨는 작은 불씨에도 큰 산불로 쉽게 이어질 수 있다.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최근 10년 평균 산불은 440건 발생, 산림 857ha 피해, 특히 봄철의 발생건수는 281건(64%), 면적의 583ha(68%) 피해가 발생했다. 그 중 산불 원인은 대부분 입산자 실화(34%, 150건), 소각산불(30%, 132건)로 인해 발생했다.
요즘 산을 찾는 등산객이 크게 늘어날수록 산불이 일어날 확률은 더욱 높아진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기본적인 것 만 지킨다면 충분히 산불을 예방할 수 있다.
산행 시 가장 중요한 것은 성냥이나 라이터 등 화기물을 소지하지 말아야 한다. 지정된 장소가 아닌 곳에서는 취사ㆍ야영ㆍ모닥불을 피우거나 흡연을 해서는 안 된다.
특히 차안에서 창밖으로 담뱃불을 버리는 일이 없도록 각별히 주의하여야 하며, 산림과 인접된 곳에서는 쓰레기소각 등 화기 취급을 하지 말아야 한다
산행 중에 산불 대처요령은 산불 발견 시 119, 112, 산림부서 등으로 신고하고, 초기의 작은 산불은 나뭇가지 등으로 두드리거나 외투, 흙으로 덮어서 진화할 수 있다.
산불은 바람이 불어가는 쪽으로 확산되므로 바람 방향을 감안하여 산불의 진행경로에서 벗어나며 산불보다 낮은 장소로 대피해야한다.
불길에 휩싸일 경우 당황하지 말고 침착하게 주의를 확인하여 화세가 약한 곳으로 신속히 대피한다. 대피장소는 연료가 없는 지역, 도로, 바위 뒤 등으로 정한다.
미처 대피하지 못한 경우 바람을 등지고주변의 낙엽이나 나뭇가지가 없는 곳을 낙엽이나 나뭇가지를 골라 긁어내고 외투나 돗자리로 얼굴과 몸을 덮고 최대한 낮은 자세로 불길이 지나가기를 기다려야 한다.
화마가 한번 산을 할퀴고 지나가면 그 상처를 치료하는데 오랜 시간이 걸릴 뿐 아니라 생태적으로나, 경제적으로 그 피해가 엄청나다.
산은 어느 누군가에는 삶의 터전이고, 어느 누군가에는 즐거움을 주는 소중한 존재다. 등산 시에는 내가 무심코 버린 불씨하나가 대형 산불로 번질 수 있다는 사실을 잊지 말아야 한다.
[인천=세계타임즈 윤일권 기자]
[저작권자ⓒ 서울세계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