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경련,7월 BSI 92.6, ‘21.1월(91.7) 이후 1년 6개월 만에 최저치

이채봉 기자 / 기사승인 : 2022-06-28 17:02:05
  • -
  • +
  • 인쇄
대내외 경제여건 악화로 제조업(90.4)·비제조업(95.1) 2개월 연속 동반 부진
긴축 및 글로벌 경기둔화로 내수(95.8)·수출(99.0) 동반 부진
투자심리위축되면서투자(99.7)‘21.4월(99.4) 이후 1년 3개월만에부정 전망 전환
규제완화‧세부담 경감 등 기업활력 부여하고, 원자재수급 대책 마련 필요

[세계타임즈 = 이채봉 기자] 전국경제인연합회가 매출액 기준 600대 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기업경기실사지수(Business Survey Index)를 조사한 결과, 7월 BSI 전망치는 지난해 1월(91.7) 이후 1년 6개월 만에 최저치인 92.6을 기록했다. BSI 전망치는 올해 4월(99.1)부터 4개월 연속주1) 기준선 100주2)을 하회하고 있다.


6월 BSI 실적치 또한 2020년 9월(84.0) 이후 1년 9개월 만에 최저치인 86.1을 기록했는데, 전월(97.2) 대비로도 11.1p나 감소하면서 기업들의 경영실적이 실제로 상당히 나빠지고 있음을 시사했다.


전경련은 고물가‧고환율‧고금리의 트리플 3高 현상이 국내외 소비와 기업 투자 여력을 위축시키고 있어 기업들의 경기전망이 당분간 개선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았다.


 주1) 종합경기 BSI : 99.1(‘22.4월), 97.2(5월), 96.3(6월), 92.6(7월)

 주2) BSI가 기준치 100보다 높으면 긍정적 경기 전망, 100보다 낮으면 부정적 경기 전망을 의미

< 종합경기 BSI 추이 >

 


 

 

 

`21.7

8

9

10

11

12

`22.1

2

3

4

5

6

7

종합경기(전망)

102.3

95.2

100.6

103.4

100.6

100.3

96.5

99.7

102.1

99.1

97.2

96.3

92.6

종합경기(실적)

99.1

97.7

98.9

98.3

102.2

100.3

104.3

91.5

99.4

94.1

97.2

86.1

 


7월 업종별 BSI는 2개월 연속주3) 제조업(90.4)과 비제조업(95.1)이 동시에 부진했다. 특히, 제조업은 4월(94.8)부터 4개월 연속 기준치 100이하의 부진세를 지속하고 있다. 전경련은 제조업의 업황 부진이 비제조업으로 전이되는 양상을 보이면서, 산업 전반의 경기부진이 우려되는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주3) 제조업 BSI : 93.6(‘22.6월), 90.4(7월), 비제조업 BSI : 99.3(‘22.6월), 95.1(7월)
7월 세부 산업별 BSI는 제조업 중 공급망 훼손, 우크라이나사태 장기화 등의 영향으로 원자재 수급 차질을 겪고 있는 비금속 소재‧제품(57.1)이 가장 부진했으며, 섬유·의복(63.6)도 소비 위축에 따른 판매부진 및 재고증가주4) 우려로 전망이 매우 어두웠다. 비제조업 중에는 전기·가스·수도(78.6)가 도시가스 수요 감소 등 계절적 요인으로 경기전망이 가장 부진했다.


주4) 섬유·의복 및 가죽·신발 업종의 7월 재고 BSI는 127.27→ BSI 조사 대상 17개 업종 중 1위(재고는 기준선 100을 상회할 경우 부정적 전망(재고 과잉)을 의미)
7월 조사 부문별 BSI를 살펴보면, 고용(103.9)이 유일하게 긍정적 전망을 보인 것을 제외하고, 재고주5)(103.6), 투자(99.7), 수출(99.0), 자금사정(97.1), 채산성(95.8), 내수(95.8)는 부정적 전망을 나타냈다.

 

주5) 재고는 기준선 100을 상회할 경우 부정적 전망(재고 과잉)을 의미
수출(99.0)과 내수(95.8)의 경우 주요기관의 세계성장률 전망 하향 조정주6)과 국내외 기준금리 인상으로 인한 구매력 위축 우려로 동반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 투자(99.7)는 대내외 경제여건 악화에 따른 부정적 경기전망이 심화되면서 작년 4월(99.4) 이후 15개월 만에 기준치 100을 하회했다.


주6) 주요기관 올해 세계경제성장률 전망치 수정 :
세계은행 4.1%(‘22년 연초)→ 2.9%(‘22.6월), OECD 4.5%(‘22년 연초)→ 3.0%(‘22.6월)


<한·미 기준금리 추이> 


*자료 : 한국은행, Federal Reserve


자금사정(97.1)과 채산성(95.8)은 올해 4월(자금사정 96.8, 채산성 97.4)부터 4개월 연속 악화 전망이 이어졌다. 전경련은 기준금리 인상에 따른 회사채 금리 상승주7), 증시부진 등이 기업의 자금 조달 여건을 악화시키고 있으며, 환율 급등으로 인한 제조원가 상승과 제품 판매 부진이 기업 채산성에 부담을 주는 상황이라고 분석했다.


주7) 국내 3년물 AA- 등급 회사채 금리(%, 한국은행):1.89(’21.5월)→3.78(’22.5월)→ 4.30(6.24일)추광호 전경련 경제본부장은 “경기침체(Stagnation)와 고물가(Inflation)로 인한 정부정책의 한계주8)로 지금은 그 어느 때보다 기업의 역할이 중요한 상황”이라며, “기업활동을 저해하는 규제를 혁파하고, 세 부담을 낮춰 기업들의 경영활력을 부여하는 동시에 해외자원개발 활성화 등으로 국제원자재 수급을 근원적으로 개선해나갈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저작권자ⓒ 서울세계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세계타임즈 구독자 여러분 세계타임즈에서 운영하고 있는 세계타임즈몰 입니다.
※ 세계타임즈몰에서 소사장이 되어서 세계타임즈와 동반성장할 수 있도록 합시다.
※ 구독자 여러분의 후원과 구독이 세계타임즈 지면제작과 방송제작에 큰 도움이 됩니다

세계타임즈 후원 ARS 정기회원가입 : 1877-0362

세계타임즈 계좌후원 하나은행 : 132-910028-40404

이 기사를 후원합니다.

※ 구독자 여러분의 후원과 구독이 세계타임즈 지면제작과 방송제작에 큰 도움이 됩니다.

세계타임즈 후원 ARS 정기회원가입 : 1877-0362

세계타임즈 계좌후원 하나은행 : 132-910028-40404

후원하기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