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반구천의 암각화’, ‘가야고분군’ 등 최근 5년 내 등재 사례 중심 실전 노하우 공유
- 관심있는 시민 누구나 무료 참여 가능…현장 만족도 조사 참여자 기념품 제공 [서울 세계타임즈=이장성 기자] 서울시는 11월 6일(목) 오후 1시, 서울역사박물관 야주개홀에서 ‘세계유산 등재제도와 각 지역의 대응’이라는 주제로 <2025년 한양의 수도성곽 학술회의>를 개최한다.
이번 학술회의는 ‘한양의 수도성곽(한양도성-북한산성-탕춘대성)’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준비 상황을 점검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이를 위해 국가유산청, 지자체, 세계유산 전문가들이 등재 심사 절차, 평가 기준, 현지실사 대응 전략을 함께 논의한다.
행사는 총 2개의 세션으로 진행된다. 첫 번째 세션은 세계유산 등재의 제도적 기반과 추진체계'에 초점을 맞춘다. 기조강연에서는 최재헌 이코모스(ICOMOS) 한국위원회 위원장이 세계유산의 등재 제도와 평가 기준을 일목요연하게 짚는다. 이어지는 발표에서는 국가유산청 송인헌 전 세계유산등재과장이 등재 절차의 거버넌스와 향후 준비사항을 소개하여, 제도 이해부터 실무 적용까지 연결되는 로드맵을 제시한다.
두 번째 세션은 유산의 특성에 따른 현지실사 대응 전략을 다룬다. 특히 최근 5년 이내 등재된 실제 사례(▴반구천의 암각화(2025년 등재) ▴가야고분군(2023년 등재) ▴한국의 갯벌(2021년 등재))를 중심으로, 실무 노하우를 공유한다. 발표는 최현숙 울산암각화박물관장, 하승철 가야고분군 세계유산관리재단 조사연구실장, 문경오 한국의 갯벌 세계유산 등재추진단 추진위원장이 맡는다. 단일유산*과 연속유산*, 광역 범위를 가진 유산의 사례가 모두 포함되어 있어 세계유산 등재를 추진 중인 지자체와 관련 실무자에게 실질적인 참고가 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서울시 문화유산활용과에서 ‘한양의 수도성곽’ 현지실사 준비 현황과 향후 점검 계획에 대해 설명하며 주제 발표를 마친다.
* 단일유산: 단일 건축물이나 유적으로 구성된 유산
* 연속유산: 지리적으로 연접되지 않았지만, 공통 요소로 구성된 유산
주제 발표 후에는 ▴조두원(이코모스 이사, 이코모스 한국위원회 부위원장) ▴이화종(한양대학교 연구교수) ▴장여동(순천시 국가유산과 근대문화유산팀장) 등 세계유산 등재 및 평가 과정에 직접 참여한 전문가들이 발표자들과 함께 토론을 이어 나간다. 특히 <한양의 수도성곽>의 현지실사 계획을 점검하여, 평가자의 관점에서 놓치기 쉬운 세부 요소를 보완하는 데 집중할 예정이다. 학술회의에서 논의된 내용은 향후 서울시의 세계유산 등재 준비 과정에도 적극 반영될 예정이다.
이번 학술회의는 세계유산 연구자뿐 아니라 관심 있는 시민 누구나 무료로 참여할 수 있다. 발표자료집은 서울 한양도성 누리집에 추후 게재될 예정이다. 이에 학술대회 참여 후 만족도 조사에 참여한 시민에게는 기념품을 제공한다.
자세한 정보는 서울 한양도성 누리집을 확인하거나 서울시 문화유산활용과로 전화 문의(☎02-2133-2669)하면 된다.
- 서울 한양도성 누리집 : https://seoulcitywall.seoul.go.kr/index.do
김태희 서울시 문화본부장은 “세계유산 등재는 지자체와 국가기관, 시민 모두가 참여하는 공동의 프로젝트”라며, “이번 학술회의가 등재 과정을 깊이 이해하고, 서울시와 관련 기관 및 시민 간 협력의 폭을 넓히는 뜻깊은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서울세계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포토] ‘제3기 만국초청 계시록특강 종강식’](https://thesegye.com/news/data2/2025/11/03/p1065621677529611_598_h2.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