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겨울철 기온이 낮아지면 3대 겨울용품으로 알려진 전기장판·전기히터, 전기열선, 화목보일러의 사용이 증가하게 된다.
하지만 겨울철엔 그로 인한 화재 또한 증가하는 게 현실이다. 아무리 우리에게 이로운 것일지라도 부주의로 인하여 사용을 잘못하게 되면 화재로 인해 많은 인명과 재산 피해가 발생하게 되므로 안전수칙을 꼭 준수해야 할 것이다.
전기장판은 KC마크가 있는 것으로 구입하며, 사용 시 취침 등 오랜 시간 사용할 경우 저온화상을 입을 수 있으니 온도조절에 유의하며 전기히터 주위에는 불이 붙을 만한 물건을 없애고 충분한 공간을 확보한다.
전원이 켜진 상태로 오랜 시간 이불, 침대와 함께 방치한다면 화재 발생의 위험이 높아지므로 사용하지 않거나 외출할 때에는 반드시 전원을 끄고 콘센트까지 뽑는 것을 습관화한다.
또한 전기장판을 사용하지 않는 기간에는 접지 않고 돌돌 말아서 보관해야 한다.
전기열선은 열선에 충격을 주거나 열선을 겹쳐 사용하지 않아야 하며, 열선을 옷가지나 스티로폼 등의 보온재로 감지 않는다.
열선 주위에 탈 수 있는 가연물을 두지 않고 온도조절기 등에 이상이 생기지 않도록 충격에 주의한다. 또한 사용하지 않거나 외출 시 반드시 전원을 차단한다.
화목보일러는 한꺼번에 너무 많은 연료 투입 시 과열에 의한 복사열이나 연료 투입구, 연통 또는 굴뚝 끝에서 불티가 비산 되어 주변의 땔나무, 지붕 등의 가연물에 착화되어 화재가 발생할 수 있다.
화목보일러를 올바르게 사용하기 위해서는 가연물과 2m 이상 떨어진 장소에 보관하고 투입구 개폐 시 화상에 주의한다. 나무 연료 투입 후 투입구를 꼭 닫으며 보일러실 인근에는 소화기를 비치한다. 또한 연통 청소도 주기적으로 해준다.
겨울철 우리에게 따뜻함을 전해주는 겨울 용품 이지만 부주의로 인하여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꼭 안전수칙을 준수하여 화재를 예방하고 따뜻한 겨울을 지낼 수 있도록 많은 관심을 기울여야 하겠다.
[인천=세계타임즈 윤일권 기자]
[저작권자ⓒ 서울세계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