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태숙 의원, 직업계고/산업현장 상생 위한 ‘개발도상국 학생 직업교육 참여 사업’ 제안

이용우 / 기사승인 : 2022-10-08 12:10:33
  • -
  • +
  • 인쇄
- “특례입학 등으로 직업교육 이수, 부산 제조업 현장 인력으로 양성” -
- ‘유학생 채용연계 사업’, ‘ODA, 사업’, ‘글로벌 현장실습’ 제안 -

 

[부산 세계타임즈=이용우 기자] 개발도상국 학생들이 부산의 직업계고에서 교육을 받고 지역 산업체 취업으로 연계하는 사업을 추진하자는 제안이 나왔다. 부산시의회 정태숙 의원(남구 제2선거구)은 10.7일 제309회 임시회 5분자유발언에서 ‘개발도상국 학생의 직업교육 참여 사업’ 추진을 제안하며, 직업계고와 산업현장의 상생을 위해 관련 제안의 사업화에 대한 구체적 검토를 부산시교육청에 주문했다.

 

현재 중소 제조업계는 외국인 노동자 구하기가 하늘의 별따기처럼 어려운 상황이다. 국내에 거주하는 외국인 5명 중 1명이 불법체류자로 그 수가 40만 명에 달하며, 최근에는 국내대학의 외국인 유학생 중도 포기자 10명 중 7명이 불법체류자로 남아 양성화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중소기업 외국인 인력 충원을 위해 2004년 고용허가제 도입을 시작으로 ‘숙련기능인력 체류자격 전환제도’ 등 관련 제도가 시행 중이지만 당장 내년에 부족한 외국인 인력만 10만 명을 넘는다. 일찍이 자국민으로부터 버려졌던 중소 제조업계에서는 어렵게 구한 합법.불법의 외국인 노동자가 언어나 문화의 간극을 좁히지 못하고 이탈하는 경우도 허다하다.
 

†관련 참고
- (문화일보, ’22.9.1.) “국내 거주 외국인 5명 중 1명은 불법체류… 40만 명 육박” (법무부자료 인용) - (노컷뉴스, ’22.9.28.) “대학 중도 포기 유학생, 10명 중 7명은 물법 체류자 신세” (법무부자료 인용) 등

 

한편, 직업계고의 위기와 기피 현상은 갈수록 고착화되고 있다. 1980년도 ‘일반고와 직업계고의 비중’은 55:45로 큰 차이가 없었지만, 2021년 기준으로는 85:15로 전체 고등학생 중 직업계고 학생의 비중이 큰 폭으로 감소했다. 부산지역 특성화고의 경우 대학진학률은 60%에 육박하는 반면 취업률은 21%에 머물러 졸업 단계 또한 특성화고의 취지를 제대로 살려내지 못하고 있다. 산업현장에서는 고졸 인력에 대한 요구가 많지만, 직업계고와 산업현장 간의 미스매칭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참고: 교육부 교육통계연보, 부산시교육청 제출자료(’22.8월)
 

정태숙 의원은 교육현장과 산업현장의 문제에 대한 해결책으로 개발도상국 학생들이 직업계고 특례입학 등을 통해 직업교육을 이수하고 이를 다시 부산의 제조업 현장 인력으로 양성하는 시스템을 제안했다. △첫째는 ‘개발도상국 유학생 채용연계 사업’으로, 학생들이 부산의 직업계고에 입학하여 제조업 현장에 필요한 기술과 문화를 익히고 산업현장의 취업으로 연결하는 것이다. △둘째는, ‘ODA(공적개발원조) 사업’의 형태로 직업계고와 개도국 간 정보화 사업 및 직업교육 과정을 운영하는 방식이다. △셋째는, 부산지역 직업계고 학생들의 호주 현장실습과 같이 개도국 학생이 부산지역으로 ‘글로벌 현장실습’을 올 수 있는 프로그램 운영을 제안했다.
 

정태숙 의원은 “개도국 학생들에게 양질의 직업교육을 제공하여 부산의 산업인력으로 양성하는 선순환 시스템은 지금 우리가 처해있는 여러 문제에 대한 현실적인 해결책이 될 수 있다”며, “학령인구 감소에 따른 직업계고의 존폐 위기와 중소제조업 인력난 극복을 위해 제안 사항이 구체적 정책으로 추진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붙임] 직업계고 관련 통계자료

 

 

* (1980년~현재) ‘고등학교’(전국) 계열별 학생수/학생비중 추이

 

연 도

계열별 학생수()

계열별 학생비중(%)

일반고

(특목고,자율고 포함)

특성화고

일반고

(특목고,자율고 포함)

직업계고

1980

932,605

764,187

1,696,792

55.0

45.0

100.0

1985

1,266,840

885,962

2,152,802

58.8

41.2

100.0

1990

1,473,155

810,651

2,283,806

64.5

35.5

100.0

1995

1,246,427

911,453

2,157,880

57.8

42.2

100.0

2000

1,324,482

746,986

2,071,468

63.9

36.1

100.0

2005

1,259,792

503,104

1,762,896

71.5

28.5

100.0

2010

1,496,227

466,129

1,962,356

76.2

23.8

100.0

2015

1,486,245

302,021

1,788,266

83.1

16.9

100.0

2020

1,125,018

212,294

1,337,312

84.1

15.9

100.0

2021

1,101,262

198,663

1,299,925

84.7

15.3

100.0

  ※ 자료: 교육부 교육통계연보

 

* 부산지역 일반고/특성화고/마이스터고, ‘진학률’/‘취업률’ 추이

 

구 분

학교계열

2017

2018

2019

2020

2021

진학률

일반고

84.04

84.45

84.02

85.66

87.13

특성화고

46.3

51.1

54.8

58.7

 

마이스터고

1.4

0.0

3.8

4.9

 

취업률

일반고

0.27

0.27

0.19

0.13

0.30

특성화고

31.8

24.6

19.9

21.0

 

마이스터고

87.5

85.4

53.0

49.7

 

  ※ 자료: 부산시교육청 제출자료(2022.8)

 

[저작권자ⓒ 서울세계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세계타임즈 구독자 여러분 세계타임즈에서 운영하고 있는 세계타임즈몰 입니다.
※ 세계타임즈몰에서 소사장이 되어서 세계타임즈와 동반성장할 수 있도록 합시다.
※ 구독자 여러분의 후원과 구독이 세계타임즈 지면제작과 방송제작에 큰 도움이 됩니다

세계타임즈 후원 ARS 정기회원가입 : 1877-0362

세계타임즈 계좌후원 하나은행 : 132-910028-40404

이 기사를 후원합니다.

※ 구독자 여러분의 후원과 구독이 세계타임즈 지면제작과 방송제작에 큰 도움이 됩니다.

세계타임즈 후원 ARS 정기회원가입 : 1877-0362

세계타임즈 계좌후원 하나은행 : 132-910028-40404

후원하기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