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중사리 앞두고 해안침수 예방 공동세미나 열린다

심하린 / 기사승인 : 2025-08-08 08:33:27
  • -
  • +
  • 인쇄
- 인천연구원·국립재난연구원·국립해양조사원·충남연구원 공동 개최 -


[인천 세계타임즈=심하린 기자] 인천연구원(원장 박호군)은 국립재난안전연구원(원장 오금호), 국립해양조사원(원장 정규삼), 충남연구원(원장 전희경) 등과 8월 8일(금) 프레이저 플레이스 센트럴 서울 호텔에서 <백중사리 대비 해안침수 예방 공동세미나>를 개최했다.

 

 백중사리는 연중 바닷물 높낮이(조차)가 크게 나는 때로, 올해 백중사리(9.8~9.11)를 한 달여 앞두고 해안침수 위험을 환기하고 대응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 세미나에서 기조강연은 서울대학교 해양연구소 강석구 책임연구원이 “한반도 주변 조석 특성”을 주제로 진행됐다.
 

 이어, 제1세션에서는 ▴조석 관측 및 조위 정보 서비스(국립해양조사원 복진광 사무관), ▴해안침수 대응을 위한 재해지도(국립해양조사원 이화영 연구사), ▴백중사리 피해 및 현장조사 고도화 방안(국립재난안전연구원 박형성 연구사) 등 백중사리 관련 기관별 주요 업무 소개가 있었다.
 

 제2세션에서는 ▴대조기 우리나라 항만시설 방재 정책(해양수산부 문승록 서기관), ▴인천 옹진군 대조기 침수 및 대응 사례(인천연구원 배덕상 연구위원), ▴충남 보령시 해수 범람 현황 및 대응 사례(충남연구원 윤종주 연구위원) 등 지역별 피해 및 대응 사례를 공유했다.
 

 오금호 국립재난안전연구원장은 “우리나라의 조석 특성뿐만 아니라 기후변화로 인한 해수면 상승 등 복합적인 위험요인을 체계적으로 분석해, 해안침수에 선제적으로 대비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
 

 박호군 인천연구원장은 “해안침수 피해 저감을 위해서는 단순한 시설 확충을 넘어 예측-대비-대응-복구 전반에 대한 관리체계 구축이 필요하다”라며, “중앙, 지방, 민간 간 긴밀한 협력체계와 지역별 특성을 반영한 맞춤형 솔루션이 병행되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이어 “기후변화로 인한 해수면 상승 추세를 고려할 때, 적응적 관리전략과 중장기적 관점의 연안지역 공간계획을 통합적으로 추진해야 한다”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서울세계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세계타임즈 구독자 여러분 세계타임즈에서 운영하고 있는 세계타임즈몰 입니다.
※ 세계타임즈몰에서 소사장이 되어서 세계타임즈와 동반성장할 수 있도록 합시다.
※ 구독자 여러분의 후원과 구독이 세계타임즈 지면제작과 방송제작에 큰 도움이 됩니다

세계타임즈 후원 ARS 정기회원가입 : 1877-0362

세계타임즈 계좌후원 하나은행 : 132-910028-40404

이 기사를 후원합니다.

※ 구독자 여러분의 후원과 구독이 세계타임즈 지면제작과 방송제작에 큰 도움이 됩니다.

세계타임즈 후원 ARS 정기회원가입 : 1877-0362

세계타임즈 계좌후원 하나은행 : 132-910028-40404

후원하기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