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온다습한 기후와 잦은 강우는 병원균의 확산에 매우 유리한 환경이다. 특히 참깨에 자주 발생하는 잎마름병은 줄기와 꼬투리에 병반을 만들고, 심한 경우 식물체가 고사해 수량과 품질 모두에 큰 피해를 준다.
문제는 병든 식물에서 채종한 종자가 이듬해 파종 시 병해 감염원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점이다. 실제로 최근 도내 일부 재배지에서 종자전염성 병해 발생 사례가 확인되면서, 수확 전부터 종자 선별과 관리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수확 전에는 병든 개체를 철저히 제거하고, 종자는 바람이 잘 통하는 그늘에서 충분히 건조한 뒤, 건강한 종자만을 선별해 저장하며, 종자 표면의 병원균을 줄이기 위해 친환경 방식으로 소독하는 것이 기본적인 관리 요령이다.
도 농업기술원 도지원 연구사는 “종자 관리만 잘해도 병해 확산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라며, “건전한 종자 확보가 내년도 참깨농사의 안정적 기반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서울세계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